목록Daily Life/블로그 (14)
Reading Diar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GSjK/btrYT8LQzYw/c0KKqSjgHkVAY4Nzkyxkp0/img.png)
블로그를 시작한지 얼마나 되었을까? 사실 애드센스가 승인 된 후 오히려 더 활동을 안하게 되었다. 하루에 한번 쓰는 걸 목표로 하다 이제는 한 달에 한 번은 쓸가 싶을 정도로 아주 드물게 블로그를 들여다 보고는 한다. 그래서 사실 큰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래도 정말 작은 돈이 쌓이고 쌓여 100$가 넘으면 이렇게 수익금을 송금받는다. 하도 활동을 안하니, 아주 가끔 과거의 내가 지금의 나한테 주는 용돈 같은 기분이다. 지급 날짜는 매월 21일이다. 주말이 껴 있으면 그 전 평일에 입금된다. 블로거에게 주는 월급 같다. 지금 당장 받고 싶어도 신청을 하면 늘 같은 날자에 수익금이 지급된다. 신청 방법은 간단하다. 100$를 넘게 모은 후에, 정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럼 21일 지급 후 저렇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zqmJ/btq8jcSGevP/JV7hBw7u9mPbMS3c3UXf4k/img.png)
한동안 전혀, 정말 조금도 블로그를 돌볼 여유가 없었다. 이직을 한 데다, 기존에 하던 일까지 병행하는 바람에 투잡을 하면서 쓰던 글은 계속 써야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저번주까지 마감이 있었던 탓에 줄곧 쉬는 시간에는 글을 쓰고 집에 돌아오면 못다한 일을 했다. 그렇게 모든 일이 끝나면 밤 10시. 아침 출근을 위해 다시 잠에 들어야하는 나는 피곤함과 바쁜 일정을 핑계삼아 차일피일 블로그 포스팅을 미루어왔던 것이다. 그러다 어제, 드디어 마감이 하나 끝났다. 그리고 그간 나의 많은 여가 시간을 차지하던 (내 인생을 야금야금 갉아먹던) 핸드폰 게임 하나를 삭제한 덕에 글을 쓸 시간이 생겼다. 생각해보면 게임을 한판 하는데 '잠깐 쉬어야지!'하고 시작하지만 한판에 30분. 블로그 포스팅 하나를 할 수 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rIZOb/btq2x478ukB/MIPWBxUzFmiuSiOJFK8IC1/img.png)
사실 블로그를 시작할 때 가장 고민되는 부분은 '어떤 플랫폼으로 시작해야 하는가?'이다. 블로그를 시작하고 글을 쓰는 것 뿐 아니라 꾸미고 가꾸는 데에도 적지 않은 시간이 드는 만큼 처음부터 목적에 맞는 플랫폼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그를 하는 목적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소통을 위해서 2. 수익을 위해서 한국에서 하는 가장 대표적인 블로그는 두 가지다. 1. 티스토리 : 가장 많이 선호하는 블로그이자, 수익 창출 목적으로 시작하기에 적합한 블로그 2. 네이버 : 가장 검색률이 높은 블로그. 많이 사용하는 많큼 상위 노출이 많은 곳이다. 흔히 말하는 '파워 블로거'가 가장 많은 곳. 리뷰의 천국이라 하겠다. 혹시 다른 블로그 플랫폼도 염두에 두고 있다면 뜯어말리고 싶다. 적어도 '한국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hInv/btq2lANLKDK/0eYhjWzYFItNUyYmHMeGvK/img.png)
나는 정말정말 귀차니즘이 심한 사람이다. 그래서 구글 애드센스를 승인 받고도 한동안 간간히 글만 쓰며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았다. 심지어 11월, 12월에는 거의 활동을 못했고, 새해가 시작되면서 꾸준히 글을 쓰리라...! 다짐한 정도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블로그 수익이 증가해서 한동안 제자리걸음이었던 블로그가 다달이 약간의 수익을 내기 시작했다. 역시 글의 양이 늘어서 수입이 늘기 시작한건가..? 하는 생각을 하며, 블로그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키워드 찾기'를 해보기로 했다. 유입량이 증가하는 키워드, '돈이 되는 키워드'라 하겠다. 그 중에 나는 가장 좋은 평을 받고 있는 '키워드 마스터'를 활용해보기로 했다. 우선 키워드마스터 홈페이지는 아래의 링크를 클릭! whereispost.com/k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qdMs/btq2rygJLpG/YidCYzFxQfGHkhp9BKzC7K/img.png)
구글 애드센스를 달고 광고를 시작한지 육개월 정도 지났다. 맨 처음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달고 몇 달 뒤, 티스토리가 카카오 계정으로 바뀌면서 '수익 관리' 섹션이 생기고 '애드핏' 광고를 손쉽게 달 수 있게 되었다. *구글 애드센스 승인 기준 : 가장 애매하다. 이렇다 할 승인 기준이 없다. 어떤 사람은 글 몇개만으로 승인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몇십개의 글을 써도 승인이 되지 않는다. 트레픽 양도 중요하지 않은 것 같다. 나는 하루 방문자 20~40명을 왔다갔다 할 때 구글 애드센스가 승인되었다. 나를 기준으로 본다면 한 글 당 글의 양이 꽤 길었다는 것과 글의 개수가 20개 가량 되었다는 것 정도겠다. 허나 같은 기준으로 써도 승인이 되는 사람이 있고 안되는 사람이 있다. Valuable co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H3WZN/btq2gWIyHHx/6xYfrqaGhH8I00x8nTTKl1/img.png)
구글 애드센스를 승인받은지 약 육개월이 지났다. 처음 승인을 받았을 때 예상치 못한 승인에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그 후, 어떻게 하면 수익을 올릴 수 있을까 고민하다 초반에 열심히 애를 쓰고 지쳐서 11월, 12월에는 거의 관심을 끄고 살았다. *에드센스 승인 나는 호주에서 돌아와, 5월쯤부터 이 블로그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 글은 꽤 많이 (약 1500자 이상) 쓴 편이었고 사진은 주로 하나만 올렸었다. 그렇게 15개쯤 됐을 때 부터 에드센스를 신청하기 시작했는데, 한 서너번 연속으로 떨어지자 시간을 좀 갖고 다시 신청해야겠다는 생각에 신청을 하지 않았다. 그러다 9월 말, 아 시간이 좀 지났네? 하는 생각에 다시 신청한 것이 승인을 받았다. 처음에는 에드센스 승인만 받으면 엄청 열심히 할 것 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rezz/btqZDOmhnmY/xsUcuGYKbV6iRrqUVCzJu1/img.png)
나는 메일도 우편물도 확인을 그리 잘 하지 않는다. 유일하게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는 이메일은 맥북과 연동되어 있는 아이클라우드 계정이었다. 그리고 얼마 전, 페이지에 빨간 느낌표가 떠 있는 걸 발견했다. '주소가 확인되지 않아 지급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라는 아이콘 이었다. 구글 애드센스를 시작한지 한 삼개월정도 지난 것 같은데, 이제야 뜨다니. 수입이 늘었기 때문일까? 당시에는 받은 핀도 없고, 사실 지급을 받을 정도로 ($100 이상일 때 지급됨) 모이지도 않아서 방치했다. 그런다 얼마 뒤, 이런 우편물이 도착했다. 아니 정확히는 이런 우편물이 도착했다고 어머니께서 찍어서 보내주셨다. 이런걸 언제 받아봤더라. 아, 그래. 예전에 호주에서 구글맵에 회사 주소를 등록했을 때 비슷한 메일을 받았었다. 구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Ketg/btqW8GeqtZp/vcLKQF6M8kIURQ0mkJsZY0/img.png)
한 달 전, 이메일로 브런치를 통해 '새로운 제안'이 도착했다. '새롭다' 라는 말은 언제 들어도 설렌다. 하지만 이 메일에 첨부된 아래의 이미지. 저 이미지가 나를 더욱 설레게 했다. 초대장같은, 계약서같은, 수표같은(?) 느낌의 깔끔한 느낌이었다. 역시 무채색과 나무톤의 조합만큼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느낌. 그렇게 설레는 마음으로 이메일을 열고, 제안을 확인했다. 제안을 보낸 사람은 '윌슨'이었다. 고민상담을 해주는 어플리케이션. 이미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어플인 듯 했다. 아마도 내 글 중 연애와 관련된 글을 보고 보내온 듯 했다. 내용은 간단했다. '윌스너'가 되어 사람들의 고민을 들어주고 상담을 해달라는 내용이었다. 물론 아주 약간의 보상(?)도 주었지만 10분에 1,000원 같은 정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vTK6/btqK8k0qnNY/goOk5ndP9SCtnELZlbKFS0/img.png)
며칠 전, '구글 애드센스 지금이다!'라는 글과 함께 유투브에 몇개의 영상이 올라왔다. 그건 9월 말에서 10월초 약 일주일 정도의 기간동안 구글 애드센스를 신청한 사람이 줄줄이 승인을 받았다는 내용이었다. 영상 밑에는 많은 댓글로 '저도 영사보고 신청했는데 승인되었어요!'라는 댓글이 달려있었다. 그 영상은 금요일쯤에 게시되었고, 혹시나 싶어 몇 개 승인을 받아둘까 하는 다음에 일요일에 다른 블로그를 만들어 신청했다. (아무것도 안쓰고 블로그만 개설한 뒤 신청하면 된다는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첫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까지 걸렸던 시간과 글을썼던 기억들을 더듬으며 줄 때 받아놔야지! 하는 생각으로 신청했다. 그리고 다음주가 되었다. 역시 그런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나는 실험삼아 두개의 블로그를 신청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0r4bQ/btqJVPIgtWH/hy5ZYFszlJbpVJYz4GdWfK/img.png)
티스토리 블로그로 구글 사이트를 승인받고 광고를 단지 일주일 정도가 흘렀다. 사실 그간 별다른 장치 없이 블로그만 운영하고 있었던 탓에 별 생각이 없었는데, 통계를 보며 하나 깨달은 것이 있다. '네이버'에서 들어오는 유입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티스토리 유입은 다음, 구글, 직접유입, 그리고 때때로 카카오 였다. 네이버는 정말 단 한건도 없었다. 그래도 한국에서 제일 흔하게 사용하는 플랫폼이 네이버인데 전혀 없는 건 조금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어 검색해보니 따로 서치엔진에 사이트를 등록해야 한다는 것 같았다. 유투브를 참고해서 하라는데로 해보기로 했다. 사용하고 있는 네이버 계정에 사이트 소유를 확인했다. 구글에서 하던데로 HTML 태그로 티스토리 스킨편집을 통해서 진행했다. 여기서 끝인가 했더니 RS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etCl/btqJWsFALSB/5RE0mmpZEDYkBMpxDxPzT1/img.png)
브런치를 시작한지 몇주가 흘렀다. 패스트매거진의 수업 진도에 따라 주에 두개씩 글을 올리고 있다. 그 사이 구글 애드센스도 승인되고 흔히 말하는 1일 1 포스팅을 한번 해보자고 마음먹은지 일주일도 되지 않아 실패했다. 그냥 최대한 자주 써야겠다. 본래 '매거진'에 글을 써서 올리세요. 라고 되어 있었는데, 나는 매거진을 어떻게 만드는 건지 몰라 그냥 글만 발행했었다. 그러다 오늘 밀린 온라인 강의를 보는데 매거진 만드는 법이 나왔다. 다행히 지금까지 발간한 글을 매거진 안으로 옮길 수 있었다. 브런치 사이트에 들어가면 이렇게 홈페이지가 나온다. 로그인 후, 'brunch'라는 글 옆 메뉴를 클릭하면, 이렇게 '내 브런치'라는 탭이 있다. 탭을 누르면 '작가소개, 글, 작품' 이라는 탭이 있는 화면으로 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vKVV/btqJBdh1G5v/UKd6nvlfAvZv0SXC08Pjs0/img.png)
애드센스 승인이 나고 애드센스 사이트에 들어가 살펴보았다. 눈으로 슥 보았을 때는 꽤나 복잡해 보였고, 처음 해야한다는 두 단계 정도는 확인해보니 이미 되어 있었다. 나는 컴퓨터를 잘 모르는 편이라, 최대한 간단한 방법으로 광고를 달아보기로 했다. 에드센스에 로그인해 왼쪽 탭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그리고 '코드 가져오기'를 누르면 처음 애드센스를 신청할 때 했던 것 처럼 코드를 삽입하라고 하는데, 실제로 들어가보면 이미 코드가 삽입되어 있는 걸 확인 할 수 있다. 다음은 실질적으로 광고를 추가하는 '광고 단위 기준'이다. 광고 단위 기준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이 중 '디스플레이 광고'와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를 선택했다. *디스플레이 광고는 내가 따로 삽입하지..